뉴욕증시가 6일(현지시간)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4.67포인트(0.42%) 내린 3만4496.51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43.97포인트(0.97%) 하락한 4481.1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15.35포인트(2.22%) 떨어진 1만3888.82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행보와 서방의 러시아 제재 소식 등에 주목했다.
연준의 공격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계속 불거지면서 뉴욕 증시는 장 초반부터 약세였다.
이날 오전 연준 내 대표 매파 인사인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치솟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며 “체계적인 일련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전날 대표 비둘기파 인사인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의 견해와 매우 유사한 발언이었다.
이에 CNBC는 “(공격 긴축을 공언한)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의 견해와 매우 유사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대표 비둘기파 인물이다.
이후 연준이 3월 FOMC 정례회의에 대한 의사록을 공개하자 시장의 투심은 더 얼어붙었다. FOMC 참석자들은 추후 대차대조표 축소, 즉 QT 규모를 월 950억달러로 하는데 대체로 동의했다고 의사록은 전했다. 추후 3개월에 걸쳐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을 재투자하는 대신 소멸시키는 식으로 대차대조표상 자산을 줄이는 롤 오프(roll off)를 통해 월 국채 6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 350억달러까지 각각 줄이기로 했다는 것이다.
국채금리는 의사록 공개 이후 폭등했다. 뉴욕채권시장에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 들어 2.57%대에서 움직였다가, 의사록이 나온 이후 2.63%대까지 순식간에 치솟았다.
한편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 소식도 이어졌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부차 학살 사건 등을 계기로 러시아에 추가 제재에 나섰다. 이같은 추가 제재에는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과 주요 7개국(G7) 등 30여개국이 동참할 것으로 전했다.
'주식과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1(월) 뉴욕증시, 긴축 우려에 혼조…나스닥 1.34%↓ (0) | 2022.04.11 |
---|---|
4/8(금) 뉴욕증시 사흘 만에 반등…낙폭 과대 따른 반발 매수세[ (0) | 2022.04.08 |
4/6(수) 뉴욕증시, 연준 긴축 예고·채권금리 급등에…나스닥 2.26%↓ (0) | 2022.04.06 |
4/5(화)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에 상승…나스닥 1.9%↑ 마감 (0) | 2022.04.05 |
4/4(월) 뉴욕증시, 고용호조·유가하락에 상승 마감…다우 0.40%↑ (0)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