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시황

뉴욕증시 (전강후강) - 저가 매수세 6거래일만에 반등 (2022-12-09)

L트리거 2022. 12. 9.
반응형

오늘증시일정 | 뉴욕증시 | 장전뉴스 | 종목리포트 | 증시요약 
♨ 매일 출근길에 작성되는 따끈한 투자정보, 돈의 흐름을 파악하자!

투자 트리거 | 2022-12-09 금요일


전일 코스피 ·코스닥은...

[그림-1] 양지수 하락 마감

KOSPI : 5일 연속 하락, KOSDAQ : 3일 연속 하락

  • (KOSPI) 전일 해외 증시 약세에도 원화 강세 보이며 상승 출발 장중 경기 침체 우려 고조등으로 외국인 매도폭 확대되며 1%하락하기도 하였으나 기술주 강세등에 따른 기관 매수세 전환으로 낙폭 축소되며 마감.

[그림-2] 코스피 매매동향 - 외국인 대량 매도, 기관 순매수

  • (KOSDAQ) 나스닥 Biotech 지수 강세영향으로 상승 출발 하였으나 기관 매도세 출회되며 하락 전환마감.

[그림-3] 코스닥 매매동향 - 외국인 매수, 기관 대량 매도
[그림-4] 코스피 주간 누적 매매동향 - 개인만 나홀로
[그림-5] 코스닥 주간 누적 매매동향 - 여기도 개인만 나홀로 매수
[그림-6] 코스피 업종별 등락률 - 종이목재 약세
[그림-7] 코스닥 업종별 매매동향
[그림-8] 코스피 종목별 등락률 - LG에너지솔루션 약세
[그림-9] 코스닥 종목별 등락률 - 알테오렌 약세

KOSPI 수급주(기관): LG에너지솔루션 (외국인) : 삼성SDI

[그림-10] 코스피 종목별 수급

KOSDAQ 수급주(기관): 더블유씨피, 성일하이텍 (외국인) : 셀트리온헬스케어, 엘앤에프

[그림-11] 코스닥 종목별 수급


오늘 주요 일정은...

  • 12.5(월) 미국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확정치 
    중국 차이신 서비스업 PMI

  • 12.6(화) 미국 내구재 주문 MoM 확정치
    ISM 서비스업 지수

  • 12.7(수) 독일 산업생산 MoM 
    중국 수출 YoY, 수입 YoY, 무역수지

  • 12.8(목) 일본 실질 경제성장률 QoQ
    한국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 12.9(금) 미국 PPI YoY , 미시간대 소바지신뢰지수 잠정치
    코스피200, 코스닥150 정기변경

전일 특징 테마는...

  • 글로벌 5G 가입자 수 연내 10억명 돌파 전망 등에 상승
    - 쏠리드, 에이스테크, 오이솔루션, 에치에프알, 이노인스트루먼트

  •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 등에 하락
    - 인바이오젠, 비덴트, SBI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 테슬라 수요 둔화 우려 지속 등에 하락
    - LG에너지솔루션, 우수AMS, 대성하이텍, 삼진엘앤디

  • 유럽 내 저조한 풍황 우려 등에 하락
    - 대창솔루션, 우림피티에스, 대명에너지, 서암기계공업

  • 경기침체 우려 지속 및 美 여행/항공주 약세등에 하락
    - 롯데관광개발, SM C&C, 참좋은여행, 한진칼, 에어부산

  •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국내증시 하락 등에 하락
    - 다올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및 휘발유 재고 증가 등에 국제유가 급락에 일부 관련주 하락
    - S-Oil, SK이노베이션, 대성산업, E1

뉴욕 증시는...  

[그림-12] 뉴욕증시 상승 마감
[그림-13] 환율 보합, 유가는 하락

[다우지수 : 2일 연속 상승, 나스닥 : 4일만에  상승

  • 8 일(목) 미국 증시는 FOMC 를 앞두고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낙폭과대 인식 및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6 거래일만에 반등 (다우 +0.55%, S&P500 +0.75%, 나스닥 +1.13%)
  • 중국이 방역 조치를 빠르게 완화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6 개월간 중국 경제가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 중국이 일상 회복에 돌입하게 되면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부동산 시장 등 중국 내 경제가 살아나면 수입 급증 및 공급망 차질을 초래하며 내년 물가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3 만건(예상 23 만건, 전주 22.5 만건) 기록하며 예상치 부합. 2 주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67 만건으로 예상치 161.8 만건을 상회하며 지난 2 월 이후 최고치, 두 달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며 고용시장 과열이 식어가고 있고 향후 경기침체 가능성을 예상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분석 제기.

[그림-14] 나스닥 종목별 등락률 - 엔비디아 강세


장전 주요 뉴스는...

씨티 "기업 이익 하향 덜 반영…주식시장 하락 위험 높다"

- 머니투데이

  • 버클랜드 씨티그룹 전략가 "뉴욕증시 가격 너무 낙관적"
    "내년 기업 이익 4% 성장 반영, 실제 이익 3% 줄어들 듯"
  • 향후 거시경제 침체로 인해 기업 이익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상승랠리로 인해 향후 미국 주식시장 하락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로버트 버클랜드 씨티그룹 전략가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현재 뉴욕 증시 가격 수준은 너무 낙관적”이라고 지적하며 “우리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편입된 기업들의 내년 주당순이익(EPS)이 3%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반면 현재 S&P500지수는 4% 성장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 S&P500지수는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으로 인해 지난 10월 저점에서부터 17%나 반등하고 있다. 최근 조정에도 불구하고 S&P500지수는 12개월 추정 이익대비 주가수익비율(PER) 17.1배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올 최저치인 15.2배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최근 10년 평균치와 일치하는 수준이다.
  • 지난주 최근 7개월 만에 처음으로 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된 기업 수가 하향 조정 기업 수를 앞지르긴 했지만, 씨티그룹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전세계지수(ACWI)에 속한 기업들의 EPS 전망치가 내년에 5~10%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월가 전망치인 3% 성장에 비해 훨씬 더 부정적인 수치다.
  • 특히 버클랜드 전략가는 선진국 증시 가운데 영국 시장을 가장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 그러면서 “기업 이익이 20%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봤다. 아울러 기업 이익이 10% 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유럽과 이머징 증시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 업종별로는 금융과 에너지 등 경기민감주가 20% 정도 이익 하향 조정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반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성장주는 이익 하향 조정 가능성을 더 높이 주가에 반영하고 있다고 봤다.

금일 주요 종목 리포트...

  • 농심 A004370 -가는 말에 채찍질, 계속 좋다가 수요 해소후 11~12월 국내 내수 라면판매량 빠른 성장세 지속. 팜유/밀가루 원가부담은 3Q22 정점 통과. 22년 라면 시장점유율 57%, 23년 60%목표미국 LA 1공장 가동율 100%, 2공장 가동율 45%. 월마트/코스트코 전점포 입점 등 유통 채널 빠르게 뚫고 있음 | BUY | 목표가 410,000 | 현재가 330,000 | DB금융투자

  • LS ELECTRIC A010120 -쌓여가는 수주잔고, 4분기도 호실적 예상, 전력인프라 중심 수주 모멘텀 강화글로벌 전력망 인프라 투자 및 미국 IRA 수혜 클 것 |  BUY | 목표가 80,000 | 현재가 54,100 | 키움증권

  • 삼성전기 A009150  -1Q, 긍정적인 신호 기대2023년 1분기 저점으로 업황 회복, 영업이익 증가 구간에 진입 |  BUY | 목표가 190,000 | 현재가 136,500 | 대신증권

오늘 증시 세줄 요약...

  •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등 미국 증시 반등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
  •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소화 후 외국인 수급 변화
  • 중국 11 월 생산자물가 결과

 

반응형

댓글

💲 추천 글